문금주 의원
재해로부터 어가를 보호하기 위해 도입된 양식수산물재해보험이 정작 사업시행기관인 수협의 수익 창구로 전락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더불어민주당 문금주 의원(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전남 고흥·보성·장흥·강진)이 해양수산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금을 포함해 어가가 납부한 양식수산물재해보험료 총액은 1,538억 9,255만 원에 달했다.
반면, 같은 기간 수협이 지급한 보험금은 954억 4,605만 원에 그쳐, 약 584억 원의 차액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 동안 해수부와 지자체는 보험료 지원 명목으로 최소 1,452억 2,800만 원의 예산을 투입했다.
특히 2020~2021년에는 일부 지자체(전남)만 통계에 포함된 점을 고려하면, 실제 지원 예산은 더 많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금만 계산해도, 수협이 지급한 보험금보다 497억 원 이상 많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협은 동 기간 임원 성과급 10억 9,300만 원을 지급했고, 연봉 1억 원 이상 직원 비율이 18%에서 29%로 급증했다.
수협은행 또한 임원 성과급 56억 900만 원, 고액연봉자 비율 **37%**로 늘어나는 등 내부 보상 구조는 강화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 같은 상황에 어민들 사이에서는 “차라리 보험 예산을 어가에 직접 나눠주는 것이 낫다”는 목소리까지 나오고 있다. 실제로 2024년 양식수산물재해보험 가입률은 40%에도 미치지 못했다.
문금주 의원은 “양식수산물재해보험 문제는 국회에서도 꾸준히 지적됐지만, 보험료 인상과 제도 관성 탓에 개선이 이뤄지지 않았다”며 “이번 국정감사를 계기로 제도의 한계가 명확히 드러난 만큼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별도의 기금을 설치해 기후위기 시대 어민의 생계를 안정적으로 보장하고, 한계가 드러난 정책보험은 점진적·장기적으로 폐지 방향까지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中 대형 매체들, 韓 골프장 인력난 해결사로 '위두(WIDU)' 집중 조명
[서울=서민철 기자]최근 경주 APEC을 기점으로 한중 관계가 급속한 해빙 무드를 타고 있는 가운데, 중국 주요 관영 매체들이 한국의 골프 산업 인력난을 해소하기 위해 나선 한국 기업에 뜨거운 관심을 보이고 있다.지난 11월 11일, 차이나닷컴과 CCTV 등 중국 유력 언론들은 한국의 지자체 및 관련 협회와 협력하여 중국 골프장 캐디 인력을 한국...
[인사] 아시아경제
◇ 뉴욕특파원 내정▲ 편집국 경제금융부 차장 황윤주◇ 해외 연수특파원 내정▲ 편집국 기획취재부 기자 전진영
[인사] CJ그룹
<신임 경영리더(임원) 승진자>◇ CJ제일제당△김성호 신승훈 임건호 장나윤 정준영 정효진 최윤석 한지호◇ CJ대한통운△강용준 고영호 김수현 김정태 박진영 이기상 정인지◇ CJ올리브영△김도영 김수주 설동민 염지혜 유아영 이은애 박성건◇ CJ ENM(엔터부문)△김지영 여상곤 이양기◇ CJ ENM(커머스부문)△박희정 서진욱 한지은◇ 4DPL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