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동구청
서울 성동구 서울숲 인근 한 카페가 ‘중국인 출입 금지’ 방침을 내걸어 논란을 빚은 가운데, 구청과 지역 상인들의 설득 끝에 해당 조치를 철회한 것으로 확인됐다.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29일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 인터뷰에서 “카페 사장님이 성동구청 직원과 지역 상인들과 대화한 뒤 매장 내 공지를 철거했고, 현재는 중국인 출입을 막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SNS에 남아 있는 공지는 사장님이 ‘며칠만 기다려 달라’고 해서, 적절한 시점에 삭제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정 구청장은 이번 방침이 생기게 된 배경도 설명했다. 그는 “한 중국인 손님이 가게에서 중국어로 통화하던 중 다른 고객의 항의가 있었다”며 “그 과정에서 사장님이 해당 손님에게 사과했고, 이후 비슷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출입금지 문구를 붙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올 상반기에만 외국인 300만 명이 성수동을 방문했고, 지난해 카드 매출액만 1,300억 원이었다”며 “외국인 관광객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상인들 사이에서 매출 감소 우려가 컸다”고 덧붙였다. “개인의 판단일 수는 있지만 공동체 전체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점을 사장님이 이해하고 철회했다”고도 말했다.
사진=정원오 성동구청장 엑스 캡처
논란이 커지자 성동구청장도 “성수동이 대표적인 관광지로 떠오르고 있는 만큼, 업장을 설득해보겠다”며 직접 진화에 나섰다. 공무원들이 여러 차례 찾아가 설득했지만, 초기에는 카페 점주가 입장을 바꾸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카페 점주는 차별이 아니라 “가게를 지키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였다”고 밝혔으며, 다만 “후폭풍이 큰 데다 구청 입장도 있는 만큼 조만간 공지를 삭제하겠다”고 연합뉴스에 전했다.
이번 사안은 해외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도 빠르게 확산됐다. 정 구청장은 “중국에서는 ‘성수동 관광 거부’ 움직임이 일었고, 미국 레딧 등에서도 반(反)한국 정서가 번지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런 사안에 행정력이 개입할 법적 근거가 아직 없다”며 “적절한 중재를 위한 사회적 합의와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이번 사건도 그런 합의를 만들어가는 과정으로 본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국격에 맞게 무차별적인 혐오는 자제해야 하며, 특정 국적을 대상으로 한 배제는 사회적 신뢰를 해칠 수 있다”고 조언했다.
中 대형 매체들, 韓 골프장 인력난 해결사로 '위두(WIDU)' 집중 조명
[서울=서민철 기자]최근 경주 APEC을 기점으로 한중 관계가 급속한 해빙 무드를 타고 있는 가운데, 중국 주요 관영 매체들이 한국의 골프 산업 인력난을 해소하기 위해 나선 한국 기업에 뜨거운 관심을 보이고 있다.지난 11월 11일, 차이나닷컴과 CCTV 등 중국 유력 언론들은 한국의 지자체 및 관련 협회와 협력하여 중국 골프장 캐디 인력을 한국...
[인사] 아시아경제
◇ 뉴욕특파원 내정▲ 편집국 경제금융부 차장 황윤주◇ 해외 연수특파원 내정▲ 편집국 기획취재부 기자 전진영
[인사] CJ그룹
<신임 경영리더(임원) 승진자>◇ CJ제일제당△김성호 신승훈 임건호 장나윤 정준영 정효진 최윤석 한지호◇ CJ대한통운△강용준 고영호 김수현 김정태 박진영 이기상 정인지◇ CJ올리브영△김도영 김수주 설동민 염지혜 유아영 이은애 박성건◇ CJ ENM(엔터부문)△김지영 여상곤 이양기◇ CJ ENM(커머스부문)△박희정 서진욱 한지은◇ 4DPL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