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조선의 기인] 조선 중기의 의학자 허준(7)
  • 전영태 기자
  • 등록 2016-07-10 06:35:37
  • 수정 2016-07-11 11:27:10

기사수정

우리나라에서 의학이 발달되기 시작한 이후로 우리에게 이름이 가장 많이 알려진 의인(醫人)을 들라면 허준을 들 수 있다. 허준이 이렇게 많이 알려진 이유는 그의 저서인 (동의보감(東醫室鑑))이 우리나라의 의학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동의보감)을 저술한 허준에 관해서는 잘 알려진 이름에 비해 그의 생애에 관해 찾아볼 수 있는 기록들은 많지 않다. 다만 허준의 가문에 전해져 오는 양천허씨세보(陽川許氏世譜)와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상의 단편적인 양평군 허준의 영정기록에 의지하여 그의 생애를 유추할 수 있을 뿐이다. 허준의 생애에 관한 것들 중 전설적인 부분은 배제하고 단지 확인할 수 있는 기록에 의한다면 청소년기의 기록이 없어 그의 의학수업 과정에 관해서는 확실히 알 수가 없다.


허준은 154635일에 허론(許論)의 차남으로 출생했다. 그의 증조부 지()는 영월군수(寧越郡守)를 지냈고, 조부(祖父) ()은 무과(武科)에 등과(登科)하여 경상우수사를 지냈으며, 부친(父親) ()도 역시 무관(武官)으로 용천부사(毫川府使)를 역임한 무인(武人) 가정의 서자(庶子)로 태어났다. 그가 서출(庶出)이라는 기록은 없으나, 당시에는 중인계급이 진출하던 의인(醫人)의 길을 택한 것으로 보아 추측할 수 있고 또한 (조선왕조실록)의 기록 중에 그가 당상관(堂上官)의 위계(位階)를 받게 되었을 때 조정의 간관(諫官)들의 반대가 심했었음을 보아서 알 수 있다. 그에 관한 (조선왕조실록)상의 기록은 선조2(1569)부터 광해군7(1615)까지 보이는데, 여기서 허준의 생애연구에 의미가 있는 기록들만 선별해서 연대순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5696(선조2)에는 유희준의 부인(婦人)의 설종(舌腫)을 치료한 기록이 처음으로 보이고, 1570(선조3)에는 선조의 체병(滯病)을 치료했다. 1578년에는 선조가 보주동인유혈침후도철을 허준에게 하사했다는 기록이 있다. 15815월에는 중국 육조시대(中國 六朝時代)의 고양생(高陽生)이 지은 찬도맥결(纂圖脈訣)을 교정하여 찬도방론맥결집성(纂圖方論脈訣集成) 4권을 저술했다.


158712월에는 선조의 병을 고침으로 해서 호피(虎皮)를 하사 받았다. 159012월에는 두창(痘瘡.천연두)이 전국적으로 유행하여, 왕세자(王世子)의 제()가 죽고, 왕세자(王世子)도 증세가 매우 위중하여, 거의희망이 없었는데 이를 허준이 치료하였다. 이에 선조가 허준을 당상관(堂上官)으로 특별히 명()하여 승진시켰다. 그러나 사헌부(司憲)와 사간원(司諫)에서 허준의 특진을 취소시키기를 청하였다.


1592(선조25)에는 임진왜란이 일어나니 허준은 선조의 천리(千里)피난길에 처음부터 끝까지 왕의 곁을 떠나지 아니하고 왕을 호종(雇從)하였다. 그리하여 그 공()을 기록하게 하였다. 1596년에는 왕세자의 이질이 오래된 것을 허준이 치료하여 다시 선조가 허준에게 가자하였으나 사간원 등에서 중인(中人)출신에게 동반(東班)은 외람하다 하여 개정하기를 청하였다. 이해에 선조의 명으로 (동의보감)의 편찬을 시작했다 1602년에는 두창의 치료를 위해 어의 허준에게 명하여 언해두창집요 2권을 편찬케 하였다. 또한 언해구급방을 간행하였다.


1604년에는 충근정량호성공신 삼등에 봉하였다. 1606년 정월에는 양평군 정일품 보국숭록대부를 가자하였으나 중인출신에게 당상관의 위계를 줌이 불가하다는 반대가 심하여 다시 취소되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선조는 수차례에 걸쳐서 허준을 옹호하고 있는 기록들을 볼 수 있다. 1608년 정월에 언해태산집요를 개편했다. 이해에 수년간 병을 앓아오던 선조가 승하했는데 허준은 당시 수의였다. 따라서 약의 경중을 가리지 않고 태만하게 투약해서 왕의 병을 고치지 못했다 하여 조정에서는 허준에게 책임을 물어 관작을 삭탈하여 파직시키고 적소에 유배시켰다.


1609년 광해군 원년에는 그동안 왕의 의관으로서의 허준의 공을 기려서 다시 방환을 명했다. 이때에도 조정에서는 반대가 많았으나 왕은 세자시절부터 허준에게 질병치료를 많이 받아온 고마움과 당시에 노련한 의관이 없음을 들어 간관들의 반대를 물리쳤다. 그리하여 그해 11월에는 다시 수의가 되었다. 16108(광해군 2)15년간의 연구 노력끝에 총 2525책의(동의보감)을 완성했다. 이에 왕은 내의원에 명하여 인출광포케 했다. 그리고 허준의 공로를 치하하고 숙마일필을 하사했다.


16132월에 허준이 저술한 신찬벽온방 1권을 내의원에서 간행했다. 이해 10월에는 전염병이 유행했는데, 반진이 가을부터 치열하게 발생하여 많은 사람이 죽었다. 그런데 이 전염병의 증세는 그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증세였다. 이에 왕은 허준에게 이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는 의서를 찬술케하여, 그해 12월에는 방역신방 1권을 내의원에서 간행하였다. 이때의 전염병을 당독역이라 불렀다. 같은해 11월에 (동의보감) 2525책이 훈련도감활자로 개간되었다. 1615(광해군7

프로필이미지

전영태 기자 다른 기사 보기

1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가을 밤 밤은 가을의 상징처럼 다가오는 열매다. 가시 돋친 송이 속에 숨어 있다가 단단한 껍질을 벗기면, 고소하고도 은근한 단맛을 품은 알맹이가 드러난다. 구워 먹거나 삶아 먹을 때의 따뜻한 향은 오래된 풍경처럼 사람들의 기억 속에 남아 있다. 한국의 밤은 특히 알이 크고 질이 좋아 ‘한국밤’이라 불린다. 충청남도 공주와 부여, 전라도 순.
  2. 김정은·김여정, 中 전승절 행사서 서방 명품 착용 포착 중국 전승절 열병식 참석을 위해 방중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여동생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이 고가의 서방 명품을 착용한 모습이 포착돼 논란이 일고 있다.미국의 북한 전문매체 NK뉴스는 4일 러시아 크렘린궁이 공개한 사진을 분석한 결과, 김 위원장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포옹할 당시 착용한 손목시계가 스위스 명품 ..
  3. 中 전승절 찾는 우원식…김정은과 마주칠 가능성 관심 우원식 국회의장이 2일 저녁 중국 베이징에서 열리는 ‘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 승전 80주년 열병식(전승절)’ 행사 참석을 위해 출국했다. 국가 의전 서열 2위인 우 의장은 사실상 정부 대표로 전승절 행사에 자리한다.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도 이번 행사에 참석하면서, 양측이 텐안먼 광장 망루나 리셉션 등에서 조우할 가능성.
  4. 서천지속협, 천연기념물·멸종위기종 포스터 139종 제작·배포 서천군지속가능발전협의회(대표 신상애) 기후생태환경분과위원회는 서천군 관내에서 서식하는 천연기념물·멸종위기종 43종과 산새 96종을 정리한 포스터를 제작해 관내 초·중·고 32개교와 교육청, 유관기관에 배포했다.이번 포스터는 ‘우리가 지켜야 할 멸종위기, 천연기념물 43종’과 ‘늘 우리 곁에 함께하는 산새 96종’ 두 가지로, 기.
  5. 강원도 고상 대진항 강원 고성의 대진항은 바다와 산이 맞닿은 풍경이 매력적인 포구다. 석양이 물든 수평선 너머로 고기잡이 배들이 천천히 돌아오면, 부두는 금세 활기를 띤다. 항구 앞에는 방금 잡아 올린 생선을 싱싱하게 진열한 수산시장이 자리해 여행객의 발길을 붙든다. 단순히 어획물이 오가는 곳을 넘어, 바닷내음과 사람 냄새가 함께 뒤섞인 살아있..
  6. 고양시, 서북부 광역시티투어 '끞' 12월까지 운행 고양특례시는 서북부 광역시티투어 '끞'을 이달부터 12월 7일까지 하반기 운행을 한다고 4일 밝혔다.'끞'은 경기도, 고양·파주·김포시, 경기관광공사가 함께하는 지역 여행 프로그램으로 3개 시의 앞 자음을 조합해 만든 명칭이다. 경기 서북부의 문화·예술·자연을 합리적인 비용으로 즐길 수 있다.25명 이상 단체 예약 때는 ...
  7. 고양국제박람회재단, 스타필드 고양서 '플라워 팝업스토어' 개최 재단법인 고양국제박람회재단은 스타필드 고양과 함께 7일까지 스타필드 고양 1층 고메스트리트 앞에서 ‘플라워 팝업스토어' 행사를 진행한다고 5일 밝혔다.행사 기간 동안 고양시 화훼 농가들은 식물을 어울리는 화분에 심고 피규어나 도자기 픽 등을 곁들여 플랜테리어 활용에 적합하도록 상품을 구성해 판매한다.이번 행사는 최근 M...
역사왜곡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