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0~70년대 강남개발로 생긴 이주민이 정착하면서 형성된 서초구 최대·마지막 판자촌인 일명 ‘성뒤마을’(서초구 방배동 565-2일대) 13만여㎡ 부지가 예술·문화와 더불어 배우고 일하는 친환경 공유 정주공간으로 탈바꿈한다.
성뒤마을은 우면산 도시자연공원 자락에 위치한 자연녹지지역이지만 수십 년 간 난개발이 진행되면서 주변 경관이 훼손되고 노후 무허가 건물 등이 난립하면서 화재·산사태 위험에 무방비로 노출돼 있는 상황이다. 그동안 지역 정비에 대한 요구가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다.
서울시는 서울주택도시공사(구 SH공사)를 사업자로 한 공영개발을 통해 환경적·경제적 지속성, 개발의 공공성을 최대한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시는 지난 2015년 5월 해당부지의 계획적인 환경정비를 위해 우면산 자락에 위치한 입지특성, 전문가 정책자문, 시뮬레이션 결과 등을 고려해 ‘성뒤마을 일대 관리방안’(제2종일반주거지역, 평균7층 수준)을 우선 수립한 바 있다.
그해 8월엔 자연녹지지역의 도시환경 기능 회복과 향후 계획적인 정비·관리, 무분별한 개발행위 등 투기 방지를 위해 ‘개발행위허가제한지역’을 지정한 바 있다.
기본적인 개발방향은 20~30대 유동인구 기반의 교육·문화+일자리+친환경 공유 주거환경의 복합개발이다.
우면산 및 남부순환도로 일대 교육·문화공간과 연계하고 서울 남부권의 쾌적한 주거·생활환경, 사당·강남 일자리 공간에 가장 근접한 강남 관문지역이라는 지리적 장점을 고려해 시너지를 낸다는 계획이다.
서울주택도시공사는 4월 중 마스터플랜 현상공모를 시행할 계획이다. 최우수 당선자에게는 마스터플랜 및 공공주택 설계권을 부여한다.
마스터플랜 현상공모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서울주택도시공사 홈페이지 ‘공고 및 공지 현설계’란에 게시해 안내 할 예정이다.
현재 부동산투기, 무단형질변경 등 불법행위 발생이 우려되어 조속한 지구지정을 위한 도시설계 용역이 우선 진행 중이며 7월 공공주택지구 지정이 이뤄질 예정이다. 지구계획은 현상공모를 통한 마스터플랜을 지구계획에 반영해 2018년 6월에 수립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