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수도관리 전문가 양성 위한 수도관망교육센터 개관 - 11월 8일, 대전 한국수자원공사 인재개발원 내 수도관망교육센터 개관 - 누수예방부터 사고복구까지 실무중심 관망관리 전문교육 기대 김흥식 본부장/환경부 출입기자
  • 기사등록 2018-11-07 14:11:58
기사수정


▲ 실습용 관망을 활용한 시범교육 장면


환경부 산하 한국수자원공사(사장 이학수)118일 대전시 유성구 한국수자원공사 인재개발원에 수도 관망관리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수도관망교육센터를 개관한다.

 

이번에 개관한 수도관망교육센터는 약 330규모의 실습형 교육시설이다. 현장과 유사하게 조성된 실내 관망과 다양한 설비를 활용해 관로 점검부터 파손으로 인한 누수사고 대응까지 효율적인 관망관리를 위한 모든 과정을 교육받을 수 있다.

 

특히 실습용 관망에 설치된 인공 누수공을 활용하면, 누수탐지, 세척, 누수부위 복구 등 상황별 사고수습 과정을 반복해서 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한국수자원공사에서 사용하는 스마트미터링’, ‘원격감시제어 4차 산업혁명 혁신기술 기반의 관망운영시스템을 그대로 구축해 실무중심으로 전문교육을 진행할 수 있다.

   

스마트미터링: 센서와 사물인터넷 통신망을 활용해 실시간으로 가정의 수돗물 사용량을 관리

 

한국수자원공사는 오랜 물관리 경험과 수도관망교육센터의 교육 기반시설(인프라)를 활용해 사내 기술역량을 높이는 한편, 지자체 공무원 및 국내외 물산업 기술자까지 연간 약 2,000명의 수도 관망관리 전문인력을 양성할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또한, 수도 관망관리 전문인력 양성으로 매년 누수로 인해 발생하는 수돗물 손실을 줄이고 물 공급체계의 효율성을 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이학수 한국수자원공사 사장은 기후변화로 인한 물 부족에 대응하는 방법 중 하나는 버려지는 물을 최소화하고 공급과정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라며, “수도관망교육센터를 통해 관망관리 전문가 양성과 국가 물관리 역량 향상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한국수자원공사는 논산 등 23곳의 지자체에서 지방상수도 운영효율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 사업을 통해 이들 지자체의 평균 유수율을 23.7%p(사업시행 전 60.6% 201784.3%) 향상시켰다.

  

유수율: 수돗물이 공급과정에서 손실 없이 주민에게 도달한 비율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news21tongsin.co.kr/news/view.php?idx=79123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  기사 이미지 스미싱 범죄 ‘시티즌코난’, ‘피싱아이즈’ 앱 설치로 예방하자!
  •  기사 이미지 ‘오물 풍선’ 살포에 北 주민들 “창피스러워”
  •  기사 이미지 스미싱! 예방 앱 설치로 막을 수 있습니다.
사랑 더하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