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db갈무리
[뉴스21 통신=추현욱 ] 트럼프 대통령은 삼성에 대해 최대 200%에 달하는 고율 관세를 거론하며 강력한 무역 압박을 가했다.
보통 글로벌 기업이라면 즉각적으로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지만, 삼성은 오히려 의연한 태도를 보였다.
이는 단순히 기업 규모가 커서가 아니라, 미국을 대체할 수 있는 초대형 내수 시장 ‘중국’을 전략적으로 확보했기 때문이다. 미국이라는 단일 시장보다 중국 14억 인구의 수요 기반이 훨씬 크다는 현실이 삼성을 버티게 했다.
삼성은 중국 시장에서만 매년 17조 원에 달하는 매출을 기록하며 안정적 수익을 확보하고 있다.
반도체, 스마트폰, 가전제품, 디스플레이 등 사업 전반에서 두터운 소비층을 갖추고 있는 덕분이다. 특히 중국의 거대 온라인 유통망과 밀레니얼·Z세대 소비자들은 삼성의 혁신 제품군에 지속적인 수요를 창출하고 있다. 이 같은 고정적 수익원이 존재하기 때문에 미국과의 협상 국면에서도 삼성은 협상의 주도권을 쉽게 넘기지 않고 있다.
삼성이 미국에 투자한 사례가 없었던 것도 아니다. 텍사스 반도체 공장에만 24조 원을 투입했지만, 정치적 갈등과 인허가 문제로 공장 완공이 지연되며 생산 차질까지 발생했다.
그 과정에서 한국 엔지니어가 체포되는 사태까지 벌어지며 현지 신뢰는 큰 타격을 입었다. 수십조 원에 달하는 자본이 투입되고도 순식간에 불확실성으로 변질된 이 사건은 삼성으로 하여금 미국 시장 의존도를 재평가하게 만든 계기가 되었다. 이와 비교하면 중국에서의 안정적 매출은 훨씬 더 견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