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픽사베이미국의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가 1년 전보다 7.7% 상승했다.
지난 1월 이후 9개월 만에 최소 상승폭인데다가 넉달째 상승폭 둔화세를 이어가고 있다.
무엇보다 전문기관 전망치 7.9%를 밑돌았는데, 전문가들의 예상보다 물가 상승 속도가 둔화되고 있다는 얘기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와 식료품을 뺀 근원소비자물가지수 역시 9월에 비해 상승폭을 줄였다.
이제 관심은 연방준비제도가 다음달 통화정책회의에서 기준금리 인상폭을 어느 정도로 조절할지에 쏠리고 있다.
일단은 파월 연준 의장이 지난주에 이미 다음달에 금리 인상 속도조절에 들어갈 가능성을 시사한 바 있어 0.5%p로 금리 인상폭이 줄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다만 최근 하락세였던 휘발유값이 다시 오름세로 전환한데다가 30여 년만에 최대 상승폭을 기록하고 있는 주거비는 계속해서 물가를 자극하고 있어, 연준이 7%대로 내려간 물가상승률을 물가가 잡히고 있다는 신호로 얼마나 비중있게 해석할지는 장담하기가 어렵다.
로드 본 립시 UBS 자산관리 전무이사는 "소비자물가지수가 편안한 수치는 아닙니다. 여전히 인플레이션은 과열돼 있지만, 현 시점에서 연준의 속도조절 가능성이 유지되고 있다는 점에서는 나쁘지는 않습니다."라고 전했다.
연준이 속도조절에 들어갈 거란 기대감이 커지면서, 뉴욕증시 주요지수는 큰 폭으로 상승 마감했다.
다우존스 지수는 4% 가까이 올랐고, 스탠더드앤푸어스500 지수는 5.5% 상승하며 거래를 마쳤다.
나스닥지수는 특히 7% 넘게 폭등하며 2020년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다.
달러값도 주춤하면서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화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지수는 현지시각 10일 오후 기준 108대로 하루전에 비해 2% 가량이 떨어졌다.
안산시, 안산플러스에너지센터 준공식… 열린 에너지 체험 공간
태양광, 풍력, 수소 등 신재생에너지를 체험하고 지속 가능한 미래도시 안산의 비전을 함께 나누는 열린 플랫폼 공간이 새롭게 문을 열었다.안산시(시장 이민근)는 21일 오전 ‘안산플러스에너지센터(단원구 시화호수로 1035 소재)’ 준공식을 개최하고 새로운 친환경 에너지 공간의 출발을 알렸다고 밝혔다.‘안산플러스에너지센터...
안산시, 올해 드림스타트 사업 운영 우수 지자체 대통령상 수상
안산시(시장 이민근)는 안산시 드림스타트 사업이 올해 관련 정부 사업 운영평가 결과, 최우수 기관으로 선정돼 대통령상을 수상했다고 22일 밝혔다.안산시는 드림스타트 사업을 통해 아동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돕고자 취약계층 아동을 위한 맞춤형 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보건복지부에서 대도시·중소도시 기초단...
장검중, 대한민국 청소년 창업경진대회 우수상 수상
[뉴스21 통신=김보미기자](사진출처=장검중학교) 울산 울주군 장검중학교(교장 박현미) 창업동아리 ‘청류개천’ 팀이 ‘2025 대한민국 청소년 창업경진대회’에서 우수상을 받았다. 이번 대회는 교육부와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이 주최하고 한국청년기업가정신재단 주관으로 지난 10월 30일 서울 양재 AT센터에서 열렸다. ...
중구의회 홍영진 의원, “태화시장 주차타워 건립으로 오히려 주차난 심화”
[뉴스21 통신=김보미기자 ](사진출처=중구의회 의정홍보계)울산 중구의회(의장 박경흠) 홍영진 의원이 대체 주차부지 확보 없이 추진되는 태화종합시장의 공영주차타워 건립 공사로 인한 주차난 문제를 지적하고 대안을 주문했다. 중구의회 홍영진 의원은 21일 열린 제278회 정례회 행정자치위원회의 경제문화국 소관 행정사무감사에서 “...
외솔기념관, 공립박물관 인증’ 획득
[뉴스21 통신=김보미기 ](사진출처=중구청 문화관광과)울산 중구(구청장 김영길)에서 운영하는 외솔기념관이 문화체육관광부의 ‘2025년 공립박물관 평가인증’ 심사를 통과해, 개관 이후 최초로 ‘공립박물관 인증’을 획득했다. ‘공립박물관 평가인증제’는 3년 주기로 박물관 등록 후 3년 이상 지난 공립박물관을 대상..
안산시, 신인감독 김연경 주말 마지막 방송… 상록수체육관서 최종전
안산시(시장 이민근)는 오는 23일 안산시 출신 배구 황제 김연경의 팀 창단기를 그린 MBC ‘신인감독 김연경’의 마지막회가 방영된다고 20일 밝혔다.‘신인감독 김연경’은 프로 무대에서 방출되거나, 프로 진출을 꿈꾸는 실업팀 선수 등 각자의 이유로 ‘언더독’이 된 선수들이 신인감독으로 돌아온 김연경과 함께 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