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은 집안에도 들판에도 다양한 꽃들이 예쁘게 피어 저마다의 색깔로 벌과 나비를 유혹하고 있다.
그러나 벚꽃이 만개하는 이맘 때가 되면 하려한 벚꽃의 유혹에 꿀벌들이 요란한 소리를 내며, 이 꽃에서 저 꽃으로 날아다니는 모습을 흔하게 볼 수 있었는데 작년부터 갑작스럽게 그 많았던 꿀벌이 종적을 감추고 있네요, 꿀벌이 없어진다는 건 자칫 인류의 생존을 위협할 수도 있는 심각한 환경 문제가 원인일 수 있다는 추론도 무시할 수 없는 상황이 된 것 같다.
꽃이 피는 봄이 찾아왔음에도, 벌통에서 벌이 사라졌다는 것은 아주 큰 문제이다. 실제로 최근 꿀벌들이 사실상 ‘위기’ 국면에 놓였다는 것을 심심찮게 확인해 볼 수 있다.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꿀벌 개체 수는 점차적으로 감소하고 있다고 보고되었고, 국내에서만 하더라도 양봉 농가들을 중심으로 ‘낭충봉아부패병’이라는 꿀벌에게는 치명적인 질환이 확산되고 있음이 알려졌다. 미국, 브라질, 아프리카 등지에서는 꿀과 꽃가루를 채집하러 나간 일벌 무리가 돌아오지 않아 벌집에 남은 여왕벌과 애벌레가 떼로 죽는 ‘벌집 군집붕괴현상’이 발생한 바 있다.
매년 벌 손실 조사를 해온 비영리 단체인 BIP(Bee Informed Partnership)의 자료에 따르면 미국에서는
전국 평균 45.5%의 꿀벌이 사라졌다고 분석하고 있다. 이러한 손실은 보고된 바에 따르면 2006년 조사가 시작된 이래 두 번째로 높은 손실률이라고 한다.
그렇다면 꿀벌은 왜 지속적으로 사라지고 있는 것일까? 과학으로 최고 권위 있는 학술지들 중 하나인 '사이언스'는 군집붕괴현상과 같은 꿀과 꽃가루를 채집하러 벌집을 나선 벌들이 집으로 돌아오지 않아 유충과 여왕벌이 폐사하는 현상의 이면에는 살충제, 질병, 기생충, 그리고 지구 온난화로 인한 나쁜 날씨가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했다고 보고 있다.
먼저 살충제부터 알아보자면, 살충제에는 곤충의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미쳐 마비와 죽음을 초래하는 비교적 새로운 종류의 살충제인 네오니코티노이드라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벌들은 네오니코티노이드에 노출되었을 때, 집으로 돌아가는 길을 잃어버린다고 합니다.
다음으로 기생충인데 바라오 진드기라고도 알려진 기생충들도 벌의 죽음에 책임이 있다고 한다. 이 진드기는 벌 군락에서만 번식할 수 있는데 그들은 어른 벌과 어린 벌에게 똑같이 영향을 미치는 흡혈 기생충으로, 벌들은 다리나 날개를 잃게 되고 결국 죽게 된다고 한다.
마지막으로 기후변화가 벌들의 개체 감소에 영향을 주었다는 것으로, 제레미 커 오타와 대학교 교수팀은 꿀벌들이 지구온난화 적응에 어려움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