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원특별자치도(도지사 김진태, 이하 ‘도’)는 국토교통부가 주관하는‘2025년 생활밀착형 도시재생 스마트기술 지원사업’공모에 동해시와 홍천군 2곳을 신청해 모두 선정되었으며, 국비 14.2억 원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생활밀착형 도시재생 스마트기술 지원사업』은 기 도시재생사업을 추진 중인 쇠퇴·노후 지역을 대상으로 안전‧소방, 교통, 생활‧복지 등 주민 생활과 밀접한 분야의 지역문제를 개선하고, 도시재생 사업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2020년부터 국토교통부가 추진하고 있는 사업이다.
○ 동해시 삼화지구는 2020년 도시재생사업(일반근린형)으로 선정된 지역으로, 아로마 치유 농원 및 삼화플랫폼(작은영화관, 돌봄센터) 건립 등을 추진 중이다. 이번 공모사업 선정으로 스마트 교통안전서비스, 스마트 쉘터 등을 구축해 기존 도시재생 기능을 강화할 예정이다.
○ 또한, 홍천군 신장대리는 2021년 도시재생사업(일반근린형)에 선정되어 도심 상권 활성화를 위해 노력해온 지역으로, 지역 여건을 반영한 스마트 버스 정류장과 스마트 주차공유 시스템을 도입해 전통시장 인근 및 골목 주변의 교통문제를 해결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 선정된 대상지의 주요 서비스는 다음과 같다.
➊ 스마트 횡단 보도 도입 및 드론 재난안전 관리 솔루션(동해시)
○ 동해시는 삼화초등학교 앞 왕복 6차로를 횡단하는 초등학생의 교통안전을 위해 스마트 횡단보도 3식을 도입하여 주야간 보행자의 이동 편의성 향상 및 안전을 확보할 예정이다.
○ 또한 삼화지구는 노후 건축물의 화재 및 산불 발생 위험이 높은 지역으로 스마트 드론 시스템을 도입하여 유사시 사각지대에 대해 드론을 이용하여 영상정보 데이터 활용 등 즉각적인 재난 대응 체계를 마련하고자 한다.
➋ 불법 주정차 단속시스템 및 스마트 버스 정류장(홍천군)
○ 홍천 전통시장은 불법 주‧정차 차량으로 고령자 보행 및 운전자의 시야 가림으로 교통사고가 빈번하고, 민원이 빈번하게 제기 되는 구역으로 불법 주정차 단속시스템을 도입하여 상시 감시체계를 마련하고자 한다.
○ 전통시장내 가장 많은 노선(77개)이 지나가는 정류장에 스마트버스정류장 1식을 도입하여 기후변화(냉방‧난방‧미세먼지 등)에 대비하고, 버스 이용객의 편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 최봉용 강원특별자치도 건설교통국장은 “스마트시티는 주민 일상에서 나타나는 불편을 첨단 기술로 스마트하게 해결하는 것”이라며, “앞으로도 도내 곳곳의 도시 문제를 해결해 강원특별자치도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