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딥시크의 개인정보보호 정책이다.
눈에 띄는 게 하나 있다.
바로 사용자의 키보드 패턴을 수집한다는 내용이다.
쉽게 말해 컴퓨터 자판을 두드리는 속도나 압력 같은 걸 모은다는 건데, 챗GPT는 수집하지 않는 정보이다.
이런 걸 가져다 어떻게 쓸까?
예를 들어 '1234'를 누른다고 해보겠다.
우리는 느끼지 못하지만 사람마다 글자나 숫자를 입력할 때 키보드를 누르는 속도와 압력 등이 다르다.
일종의 고유 정보인 셈이다.
그러니까, 인공지능이 수많은 사람들의 키보드 입력 패턴 등을 반복적으로 학습하면 마치 지문이나 홍채로 신원을 확인하듯 그 사람이 누군지 알 수 있다는 뜻도 된다.
딥시크가 키보드 패턴까지 수집하는 건, 개인 보안 정보를 모으는 것과 다름없다는 우려가 나온다.
논란의 또 다른 축은 중국 당국이 원하면 언제든지 이런 민감한 정보들을 들여다볼 수 있다는 걱정이다.
미국이 중국 SNS 플랫폼인 '틱톡'에 대해 사용금지를 추진한 것도 같은 이유다.
이런 우려에 기름을 부은 건 중국의 법체계 때문이다.
딥시크가 모은 정보는 중국 서버에 저장되는데, 중국 정부가 '국가 안보'를 내세우면서 정보를 얼마든지 수집할 수 있도록 법에 돼 있다.
우리 정부도 딥시크의 개인정보 수집 실태를 파악하고 나섰다.
개인정보보호 위원회가 중국 딥시크 본사에 개인정보 수집이나 처리방식에 대해 공식 질의서를 보냈지만, 아직 답변은 받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