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원특별자치도(이하 ‘도’)는 거동이 불편한 교통약자의 이동권을 보장하고, 사회적 참여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올해 특별교통수단 차량 및 친환경 저상버스를 확충한다.
□ 지난해 특별교통수단 243대, 친환경 저상버스 238대를 운행했으며, 올해 국도비 85.8억 원을 확보해 신규 차량 34대를 도입하고, 노후 차량을 교체함으로써 특별교통수단 253대, 친환경 저상버스 262대를 운행할 계획이다.
□ 특별교통수단은 휠체어 탑승 설비가 장착된 차량으로, 중증 보행장애인, 고령자, 임산부 등 일반 대중교통 이용이 어려운 교통약자가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맞춤형 교통수단이다.
○ 또한, 친환경 저상버스는 전기·수소를 연료로 사용해 일반 경유 버스와 달리 매연이나 미세먼지 등 환경 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아 대기질 개선 효과가 크다. 바닥이 낮고 출입구에 계단이 없어 교통약자가 보다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이번 차량 도입으로 올해 1월 기준 특별교통수단 이용 등록자 수 23,333명에 대한 이동 편의가 더욱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 특별교통수단 1대당 평균 이용 인원이 96명에서 92명으로 줄어들어, 대기 시간이 단축될 것으로 예상된다.
○ 또한, 이용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효율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 지속적으로 교통수단을 확충하고 개선해 나갈 계획이다.
※ (이용 수요) 2022년 44.4만 건 → 2023년 52.3만 건 → 2024년 62.8만 건
□ 아울러, 도는 고령자와 임산부 등 비휠체어 이용 교통약자를 위한 바우처 택시와 희망택시를 확대 운행해, 특별교통수단 이용자들에게 보다 맞춤형 교통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 바우처 택시는 기존 4개 시·군에서 5개 시·군으로 확대되며, 운행 차량도 2,966대에서 3,064대로 증가한다.
○ 희망택시는 기존 18개 시·군 680개 마을에서 798개 마을로 확대된다.
□ 이종구 강원특별자치도 건설교통국장은 “교통약자의 이동권 보장을 위해 특별교통수단과 친환경 저상버스를 지속적으로 확충하고, 도내 모든 지역에서 안전하고 편리한 이동편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