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열 명 중 일곱 명은 인공지능 기술로 발생할 수 있는 개인정보 유출에 대해 심각하다고 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4년 개인정보보호 및 활용 조사’ 결과를 오늘(31일) 발표했다.
우선 성인 92.7%, 청소년 95.0%가 개인정보 보호가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면서 인공지능이 유발할 수 있는 개인정보 위험의 심각성에 대해서는 성인 76.1%, 청소년 76.2%가 ‘심각하다’고 응답했다.
또 인공지능 서비스의 개인정보 처리 현황 공개의 중요성 역시 성인 72.1%, 청소년 71.0%가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어 서비스 이용을 위해 개인정보 제공 동의 내용을 확인한다는 비율은 성인 55.4%, 청소년 37.4%로 나타났다.
동의 내용을 확인하지 않는 이유로는 성인 32.5%, 청소년 34.8%가 ‘내용이 많고 이해하기 어려워서’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기관이나 업체 등이 동의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보전달 방식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개인정보위는 분석했다.
앞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2024 인터넷 이용 실태 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해 생성형 AI 서비스를 경험해 봤다고 응답한 비율이 33.3%로 집계돼 전년보다 두 배 가까이 늘어난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