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륙 곳곳에서 붉은색의 강한 비구름이 갑자기 나타난다.
많은 양의 수증기와 높은 기온 때문에 순식간에 비구름이 발달한 것이다.
시간당 30mm 넘는 강한 비가 쏟아졌다.
이런 여름철 국지적인 기습 폭우의 배경에 북태평양의 해수면 온도가 있다는 국내 연구진의 분석이 처음 나왔다.
통상적으로 북태평양의 해수면 온도는 긴 주기를 갖고 오르내리는데, 중앙부의 온도가 평년보다 높을 경우 우리나라 주변의 해수면 온도도 함께 올라간다.
온도 차가 줄면서 큰 비구름대를 만드는 대기 상층의 제트기류 등은 약해진다.
반면, 대기 하층에는 많은 수증기가 발생하면서 우리나라에 국지적 폭우가 잦아진다는 것이다.
2019년부터 이런 현상이 이어지고 있는데, 지난달까지도 북태평양 중앙부의 온도가 평년보다 높은 상태다.
이 때문에 올여름 역시 국지적인 기습 폭우가 찾아올 가능성이 있다.
이런 유형의 폭우는 특히 예측이 어렵기 때문에 날씨 예보 모델을 고도화하는 등의 대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