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첫 폭염이 찾아온 건 지난 5월 20일, 대구 등 영남지방의 최고 체감온도가 폭염 기준인 33도를 넘어섰다.
올해 첫 열대야는 지난달 19일 강릉에서 처음 관측됐다.
과거 50년 간의 기상 데이터를 보면 폭염과 열대야는 주로 한여름인 7, 8월에 발생했는데, 크게 앞당겨진 거다.
2010년대부터 이런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
폭염과 열대야 일수 역시 급증하고 있다.
1970년대 평균 8.3일이었던 폭염 일수는 2020년대 16.7일로 배 이상 늘었다.
열대야 증가세는 더 빨라 1970년대 평균 4.2일에서 2020년대 들어 3배나 늘었다.
이른바 초열대야, 즉 밤사이 최저기온이 30도 아래로 떨어지지 않는 현상도 빈번해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처음 초열대야가 관측된 건 2013년 8월 강릉이었는데, 올해는 지난밤 초열대야가 발생했다.
발생 지역은 서울 등 내륙으로 점차 확대되는 추세다.
통상적으로 장마가 끝난 뒤 본격적인 무더위가 찾아오는 걸 감안해보면, 올해 폭염과 열대야 역시 증가세를 유지할 거란 전망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