햇볕이 내리쬐던 하늘에 먹구름이 몰려오더니, 한바탕 비를 쏟고 물러간다.
열대나 아열대 지역에서 대류에 의해 나타나는 세찬 비, '스콜'과 비슷한 소나기가 내린 거다.
점차 아열대화하는 한반도 기후는 어느 지점까지 와 있을까.
기상청과 국립기상과학원이 지난 2020년 내놓은 보고서다.
과거 109년 간의 변화를 분석했더니 평균 기온이 약 1.6도 오른 걸로 나타났다.
KBS가 기상청에 의뢰해 지난해까지 113년 동안으로 분석 기간을 늘리자, 평균 기온 상승이 1.8도로 집계됐다.
불과 4년 간의 데이터를 추가했을 뿐인데, 0.2도나 올라간 거다.
최근 10년 간의 기온 상승세는 전체 기간의 5배 수준으로 가파르게 늘었다.
아열대화의 속도가 점점 빨라지고 있다는 뜻이다.
이번 세기 후반에는 우리나라의 절반 이상이 아열대성 기후로 바뀔 거란 게 기존 전망이었는데, 더 확대될 수 있다.
아열대화를 막을 수 있는 온실가스 감축은 국제 사회의 이해 충돌로 제대로 된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어 우려는 더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