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2012년부터 붉은여우의 복원을 추진해 왔다.
최근에는 증식 기술이 발달하며 지난해 서른세 마리의 새끼 여우가 태어났다.
이번에 방사된 서른 마리 역시 이 새끼 여우가 대부분.
하지만 방사한 여우의 생존율은 50%에 미치지 못하는 걸로 추정된다.
자연사는 물론 이른바 로드킬이나 농약, 불법 설치된 덫 등의 피해를 입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공단은 방사한 여우에 최대 3년까지 위치 확인이 가능한 GPS를 부착하고 무인 카메라로 관찰하는 등 여우가 자연에 잘 적응하는지 모니터링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