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중국해를 둘러싼 중·일 갈등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일본 정부가 중국의 새로운 구조물 설치를 확인하고 항의하자, 중국은 자국 주권 내 정당한 활동이라며 반박했다.
일본 외무성은 25일 발표한 성명에서 “배타적 경제수역(EEZ)과 대륙붕 경계가 확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중국이 일방적으로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최근 새로운 구조물 설치가 확인됐다”며 “매우 유감”이라고 밝혔다. 일본은 주일 중국대사관에 항의하고, 2008년 합의한 자원 공동개발 약속을 조속히 이행하기 위한 협상 재개를 요구했다.
이에 대해 중국 외교부는 “이번 설치는 중국 관할권 내 무논란 수역에서 진행된 합법적 자원 개발”이라며 일본의 문제 제기를 “근거 없는 주장”이라고 일축했다. 외교부 대변인 궈자쿤은 “중·일 양국은 원칙적 합의를 준수해야 하며, 일본이 협력적 태도로 조속히 대화에 복귀하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동중국해 해양 경계는 양국 간 최대 난제다. 일본은 중간선을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중국은 대륙붕이 오키나와 해곡까지 이어진다고 보며 훨씬 동쪽을 경계선으로 삼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2008년 공동개발 합의 이후에도 실질적 협상은 거의 진전을 보지 못했다.
전문가들은 중국의 이번 행보를 군사적 충돌을 피하면서도 영향력을 확대하는 **‘그레이존 전략’**의 연장선으로 해석한다. 일본은 해양 자원 확보와 안보적 리스크를 동시에 의식하며 외교적 대응 수위를 높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