멕시코 정부가 중국산 자동차·섬유·플라스틱 등 일부 수입품에 대한 관세 인상을 검토하고 있다고 블룸버그가 2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구체적인 세율은 정해지지 않았지만, 오는 9월 8일까지 의회에 제출될 2026년도 예산안 논의 과정에서 공식화될 수 있다.
멕시코는 현재 중국산 자동차에 최대 20%의 관세를 매기고 있으며, 이는 미국의 대중 관세보다 낮은 수준이다. 이번 움직임은 미국의 압박을 일정 부분 수용하는 동시에 자국 제조업을 보호하고 재정 균형을 맞추려는 다층적 전략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블룸버그 라틴아메리카판은 “멕시코가 미국을 달래면서 동시에 내수 제조업을 방어해야 하는 이중 과제를 안고 있다”며 “예산 적자 보전 수단으로도 관세 정책이 활용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전문가들 역시 멕시코의 행보가 단순히 무역 갈등 대응에 그치지 않을 것이라고 본다. 닝 쑨 스테이트스트리트 글로벌마켓 신흥시장 수석 전략가는 “중국의 대중남미 수출이 늘어나면서 미국 시장 감소분을 상쇄하고 있다”며 “멕시코는 외교적으로는 미국과 보조를 맞추면서도 자국 산업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은 멕시코에 “중국산 제품에 대해 미국과 같은 수준의 관세를 적용하라”고 압박해왔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 역시 ‘북미 요새(Fortress North America)’ 구상을 강조하며, 3국 통합을 통한 제조업 강화 필요성을 언급한 바 있다.
관세 인상 방안은 중국뿐 아니라 다른 아시아 국가들의 대멕시코 수출에도 파급효과를 미칠 수 있어, 이번 조치가 북미 중심의 새로운 무역 질서 재편으로 이어질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