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4일 취임한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은행권과의 첫 상견례에서 금융 소비자 보호를 최우선 과제로 천명했다.
이 원장은 28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국내 20개 은행장과 간담회를 열고 “더는 홍콩 H지수 ELS 불완전 판매 같은 대규모 피해 사례는 반복돼선 안 된다”며 “어려운 투자상품의 판매 관행을 개선하고 ‘사전 예방적 소비자 보호 체계’를 확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금감원 내부에서도 “소비자 보호는 상품 설계 단계부터 시작돼야 한다”며, 민원 접수 이후에야 대응하는 기존 관행을 근본적으로 바꾸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바 있다. 이와 함께 개인정보 유출·횡령 같은 사고 발생 위험이 큰 업무에 대해 “내부통제를 철저히 강화해 달라”고 당부했다.
아울러 이재명 정부의 금융 국정과제인 ‘생산적 금융’도 주문했다. 그는 “은행권이 담보·보증 위주의 안전한 대출에 치중한다는 비판이 있다”며 “규제 개선으로 확보한 여유 자본이 생산적 금융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각별히 신경 써달라”고 말했다.
금융위원회는 앞서 이찬진 변호사를 이복현 전 금감원장 후임으로 임명 제청했다. 금감원장은 금융위원장이 제청하고 대통령이 인사청문회 없이 임명한다. 이 원장은 이재명 대통령의 사법연수원 동기로, 이 대통령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등 변호를 맡았던 이력이 있다.
한편 금감원은 전날 홈플러스 사태와 관련해 MBK파트너스 현장 조사에 착수했다. 이 원장이 참여연대 활동 시절부터 “기업 인수 후 구조조정·재매각을 반복하는 전문 업체”라며 비판해 온 만큼, 취임 직후부터 강도 높은 소비자 보호 행보가 이어지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