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 더 이상은 오프라인 유통기업의 몰락 스토리가 아니다. 최근 점포 폐쇄, 무급휴직 조치, 그리고 RCPS 구조를 둘러싼 MBK파트너스의 투자 행태가 수면 위로 떠오르면서, ‘금융시장 내 소비자 보호’ 문제가 본질로 옮겨가고 있다.
금융위원장 후보자는 지난 31일, 홈플러스 사태에 대해 “일부 사모펀드의 행태가 국민 눈높이에 미치지 못한다”며 제도 개선 필요성을 언급했다. 금융감독원은 이미 MBK에 대한 제재 절차에 착수했다. 핵심 쟁점은, MBK가 발행한 RCPS의 상환권을 기업 내부로 넘긴 구조가 투자자의 권리를 침해했는지 여부다. 투자자, 특히 국민연금 같은 공적 자금이 연루된 상황에서, 법적으로 가능했던 구조라 해도 정당성이 있는가는 다른 문제다.
동시에 홈플러스는 전국 15개 점포 폐쇄와 본사 인력 감축을 발표했다. 기업 회생 절차는 공식화되지 않았지만, 이미 ‘생존 경영’이라는 표현을 쓸 만큼 상황은 심각하다. 이 과정에서 단기채 발행을 통한 자금 조달로 다수의 개인 투자자들이 리스크에 노출된 정황까지 포착되며, 소비자 보호 논의는 더욱 확산되고 있다.
이번 사태는 이제 유통업계의 경쟁력 문제를 넘어섰다. 복잡한 투자 구조 속에서 금융 소비자와 공공 자금의 권익이 어떻게 보호받을 수 있는가, 그것이 지금 사회가 묻고 있는 질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