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21 통신=추현욱 ] 고양시는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복지정책 개발과 운영 등을 목표로 '고양시민복지재단'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고 22일 밝혔다.
지난 2022년 고양시는 노인비율이 14%를 넘어서며 고령사회로 진입했다.
올해 7월 말에는 시 노인인구가 19만1771명으로 전체 인구 대비 18.1%를 차지했으며 2028년에는 노인인구 비율이 20.6%에 이르러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사회복지대상자도 6월 말 기준 44만6461명으로 경기도 31개 시·군 중 가장 많게 나타났다.
인구 규모가 비슷한 경기도 내 지자체(성남 40.06%, 화성 36.75%, 용인 32.87%, 수원37.70%)와 비교해도 인구 대비 수급자 비율(41.99%)이 가장 높다.
사회복지시설도 경기도 내에서 가장 많은 수준인데 현재 시는 노인·보육·장애인 시설 등 865개 사회복지시설을 운영 중이나 시설 간 서비스 질과 운영 역량 편차가 크다.
또 대다수가 소규모·영세시설로 특별한 관리와 지원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예산 규모도 2025년 고양시 사회복지예산은 1조4658억원으로 전체 예산 3조3405억원의 43.8%를 차지한다.
2015년 5579억원(33.9%) 대비 48% 증가한 수치다.
고양시민복지재단은 ▲유연하고 전략적인 정책 기획 ▲효율적인 예산 관리 ▲복지서비스의 중복·누락 해소 ▲지역복지 대응력 강화 등 다층적인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현재 전국 46개 지자체에서 운영 중이며 수원시, 성남시, 파주시, 인천 남동구, 광주 광산구, 충남 청양군, 울산 울주군 등 7개 지자체도 재단 설립을 추진 중이다.
시는 재단 설립 관련 지난해 10월 경기도와 최종 협의를 마치고 조례 제정과 예산 편성 등 마지막 행정절차만 남겨 두고 있다.
다만 지난 3월 고양시의회 제292회 임시회에 상정한 '고양시민복지재단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조례안'이 부결돼 시의회 설득이 필요하다.
시는 오는 10월 조례안을 다시 상정할 예정이며 2026년 상반기 출범을 목표로 조례 제정을 비롯해 출연 동의안, 예산 편성 등 시의회와 지속적인 소통과 설득을 이어갈 방침이다.
이동환 고양시장은 "108만 대도시에 걸맞은 합리적 복지체계 구축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라며 "급변하는 사회와 복지수요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시민복지재단을 설립해 시민 한 분 한 분이 체감하는 맞춤형 복지를 실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