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원장 김창선)에서는 제주만이 갖고 있는 독특한 지하해수를 이용하여 광어 이외의 새로운 양식품종 개발을 위해 터봇, 줄가자미, 은연어 양식기술 개발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최근 제주 광어의 품질 안전성 논란, 홍수출하, FTA 협상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한 가격하락으로 광어양식이 위기에 처해 있어 제주 양식 환경에 적합한 신품종 개발을 통해 다품종 양식체제 전환으로 도내 양식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
제주도는 연중 17~18도 내외의 수온을 유지할 수 있는 지하해수가 풍부하여 냉수성 어종 양식 최적지로서 국내에서 아직 산업화 되지 못한 고부가 품종인 터봇, 줄가자미, 은연어 등에 대한 양식기술을 개발하여 현재 광어 위주의 양식품종을 다양화해 나갈 계획이다.
연구원에서는 냉수성 어종 종묘생산 및 양식기술 산업화를 위해 지하해수를 이용한 터봇, 줄가자미 어미화 양성기법 확립, 우량 수정란 생산 및 인공 종묘생산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은연어 육상양식 실증실험 및 경제성 분석 등을 통한 육상양식 가능성을 조사한다.
해양수산연구원 관계자는 “냉수성 어종 종묘생산 및 양식기술 개발을 통한 산업화로 도내 광어 양식 생산량의 10%를 냉수성 어종 양식으로 대체할 시에 약 200억 원의 새로운 소득이 창출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