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대표가 8일 이재명 대통령과의 오찬 회동을 계기로 민생경제 협의체를 구성하기로 합의했다. 이번 협의체는 형식적 기구가 아닌 실질적 성과를 내는 장으로 운영되며, 야당 대표의 요청이 있을 경우 수시로 열리게 된다.
더불어민주당 박수현 수석대변인과 국민의힘 박성훈 수석대변인은 이날 서울 용산 대통령실 회동 이후 국회 브리핑에서 “형식만 갖춘 보여주기식 협의체가 아니라 실질적 성과를 낼 수 있는 테마형 협의체가 돼야 한다는 데 뜻을 모았다”고 밝혔다.
협의체 구성은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의 제안으로 성사됐다. 박성훈 수석대변인은 “정청래 민주당 대표와 이재명 대통령이 적극 호응하면서 합의에 이르렀다”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회동 자리에서 “여당이 더 많이 가졌으니 더 많이 양보하는 것이 좋다”며 “여야 공통 공약을 중심으로 야당이 제안하고 여당이 응답한다면 야당에는 성과가 되고 여당에는 국정 성공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한미·한일 정상회담과 관련해 “무엇을 얻기 위한 것이 아니라 무엇인가를 지키기 위해 필요한 과정이었다”며 “매우 어렵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언급했다. 이어 “지금은 매우 어려운 상황이지만 국민과 국가의 이익에 관한 사안에서는 한목소리를 낼 수 있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또한 “민주당 출신 대통령이지만 이제는 국민 모두의 대통령이 돼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국민이 보기에 여야가 과도하게 부딪히고, 특정 이익을 위한 정치로 비칠 수 있는 상황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야당 역시 국민의 상당한 일부를 대표하는 만큼 그 목소리를 더 많이 듣겠다”고 다짐했다.
이 대통령은 장동혁 대표를 향해 “죽이는 정치를 그만하고 상생 정치, 모두가 함께 사는 정치를 해야 한다는 말씀에 전적으로 공감한다”며 “정치가 복원되고 민생 중심 국정이 실현될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 이어 “공통 공약은 과감히 함께 추진해보는 것도 방법”이라고 덧붙였다.
오찬 직후 열린 이 대통령과 장 대표 간 비공개 회동에서는 청년 고용 대책, 주식 양도세 대주주 기준 상향, 지방 건설 경기 활성화 등 민생 현안이 논의됐다. 박성훈 수석대변인은 “이 대통령이 관련 부처와 협의해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답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