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병도 의원 "수도권 수준 위협 받는 지역 전산망…보안 체계 재정비해야" 정부 전산망, 4분 30초마다 한 번꼴로 사이버 공격 받아 최근 5년간 대한민국 정부 전산망을 대상으로 한 해킹 시도가 하루 평균 323건, 총 55만 1,000건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약 4분 30초마다 한 번씩 사이버 공격이 발생한다는 의미로, 국가 차원의 사이버 방어 체계 강화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더불어민주당 한병도 의원(전북 익산시)이 행정안전부와 한국지역정보개발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미국(12만 9,112건)과 중국(7만 496건)이 전체 해킹 시도의 36.2%를 차지하며 가장 큰 위협으로 나타났다. 이어 한국(4만 9,261건), 독일(2만 7,792건), 인도(2만 1,462건), 러시아(2만 638건) 순으로 공격이 이어졌다. 다만 행정안전부는 "해킹 발신국은 우회 경로를 통해 실제 해커의 소재지와 다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탈취·침투형 공격이 54%…정보유출·권한 획득이 주를 이뤄
공격 유형별로는 정보 유출(34.0%), 시스템 권한 획득(22.2%), 정보 수집(20.1%), 홈페이지 변조(11.7%) 순으로 분석됐다. 특히 탈취 및 침투 목적의 공격이 전체의 54%를 차지하며, 국가 기반 시설에 대한 심각한 위협으로 작용하고 있다.
강원도, 5년간 광역자치단체 중 해킹 최다 피해…수도권과 비슷한 수준
광역자치단체 전산망에 대한 해킹 시도는 최근 5년간 5만 7,060건으로 집계됐다. 이 중 강원도(8,676건)가 단일 시·도 기준 가장 많은 공격을 받았으며, 이는 수도권(서울·경기·인천 합계 9,928건)에 근접하는 수치다. 다음으로는 경남(5,493건), 경기(5,463건), 전남(4,441건), 대전(4,212건) 순으로 피해가 컸다.
한병도 의원은 "사이버 안보는 국민의 생명과 직결된 문제"라며 "하루 300건이 넘는 해킹 시도는 국가가 사실상 사이버 전쟁 상태에 놓였음을 의미한다"고 경고했다. 특히 "강원도와 같은 비수도권 지역이 수도권과 유사한 규모의 공격을 받고 있음에도 보안 인프라와 관제 체계에서 지역 간 격차가 발생할 수 있다"며 "고위험 공격 유형을 정밀 분석해 선제 대응하고, 24시간 모니터링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문가 "표적화된 공격 대비해 맞춤형 방어 전략 필요"
사이버 보안 전문가들은 이번 통계가 단순한 수치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고 지적한다. 한 IT 보안 전문가는 "반복적인 해킹 시도는 단순한 실험 단계를 넘어, 국가 핵심 시설을 무력화하려는 조직적 의도가 있을 수 있다"며 "특히 정보 유출과 권한 획득 공격은 데이터 조작이나 사회 혼란을 유발할 수 있어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부는 올해 초 발표한 「국가 사이버 안보 기본법」을 토대로 공격 탐지부터 사후 대응까지 종합적인 체계를 구축 중이지만, 현장에서는 여전히 인력 부족과 예산 한계가 문제로 지적된다. 한편, 한병도 의원은 "사이버 안보는 기술뿐 아니라 정책과 예산이 결합된 종합적 접근이 필수"라며 "국회가 관련 예산을 확보하고 입법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