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3.17일(화) 8:00서울 정부청사에서 거시경제금융 관련부서를 긴급 소집하여 코로나19 관련 금융시스템 각 부문별 위험요인을 선제적으로 점검하고,적시에 시장안정조치를 신속하게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코로나19가 미국ㆍ유럽 등 전세계로 확산됨에 따라, 세계 경기침체 우려가 커지고 국제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미국, 일본 등 주요국 중앙은행의 선제적·적극적인 대응조치에도 불구하고, 국제금융시장은 주가와 미국 국채금리가 급락하는 등 불안이 고조되고 있다.
뉴욕증시는 개장직후 서킷브레이커가 발동(3월중 3차례)되었고, 다우지수도 ‘87년 블랙먼데이 이후 최대 하락률(△12.9%) 기록했다.
정부는 파격적인 통화 완화조치에도 코로나19의 높은 불확실성으로 투자자들의 불안심리가 쉽게 진정되지 않고 있어, 결국 철저한 방역이 금융시장 안정의 핵심임이 재차 확인했다.
코로나19 확산세가 지속중이고, 향후 경제지표 등을 통해 실물경제의 부정적 영향이 본격화될 가능성이 있는 만큼, 금융시장 추가불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김용범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국내 금융시장이 글로벌 금융시장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해 왔으나, 한국 경제이 양호한 펀더멘털과 정책 대응여력, 과거보다 크게 개선된 견고한 금융시스템 등을 감안한다면 과도하게 불안해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이어서 그는 "특히, 중앙은행의 신속하고 과감한 행보에 이어 재정정책 측면에서도 G7 등 주요국의 정책 공조 움직임*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며, 이러한 조치들이 시장 안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또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글로벌 금융시장 및 실물경제 영향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금융시스템 각 부문별 위험요인을 선제적으로 점검하고,적시에 시장안정조치를 신속하고 단호하게 시행하는 한편,신용경색을 미연에 방지하는데 만전을 기할 것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