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KBS뉴스영상캡쳐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1일부터 시행 예정이었던 수입 의약품 100% 관세 부과를 연기했다. 제약사들과 본격적인 협상에 나서 유리한 조건을 끌어내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미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는 1일(현지시간) 트럼프 행정부가 관세 부과를 잠정 중단하고 대형 제약사들과 협상을 진행하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5일 트루스소셜을 통해 “미국 내 생산 공장이 없는 모든 브랜드·특허 의약품에 대해 10월 1일부터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한 바 있다.
첫 협상 성공 사례는 화이자다. 화이자는 미국 수출 신약 가격을 선진국 최저 수준으로 인하하고, 미국 내 제조시설에 700억 달러(약 98조 원)를 투자하기로 합의했다. 이에 트럼프 행정부는 ‘의약품 관세 3년 유예’로 화답했다.
추가 협상 대상에는 노바티스, 존슨앤존슨 등 17개 제약사가 포함돼 있다. 로이터 통신은 아스트라제네카, 로슈, 노보노디스크 등이 협상 준비에 들어갔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협상 테이블에 나오지 않는 제약사에는 관세를 매길 것”이라며 압박 수위를 높였다.
일각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위협을 협상 수단으로 활용했을 뿐이라는 비판도 나온다. 사이먼 슈롭 버클리연구그룹(BRG) 경제학자는 “터무니없는 요구로 언론 주목을 끈 뒤 흐지부지 마무리하는 것은 전형적인 전략”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