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서양천교육지원청, 학교 급여 담당자 맞춤 지원 '어깨동무 프로그램' 성과 공개
서울특별시강서양천교육지원청(교육장 이의란)은 올 한해, 급여 실무자 맞춤 지원 ‘어깨동무 프로그램’을 통해 지속 가능한 인력 선순환 체제를 구축하며 긍정적 조직 변화를 이끌어냈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그램은 학교 현장에서 기피하는 급여 실무 부담을 완화하고 신규 공무원의 초기 이탈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
사진=강서양천교육지원청, '2025 강서양천 내게 다가온 수업 한마당' 현장 전경
서울특별시강서양천교육지원청(교육장 이의란)은 10월 20일(월)부터 11월 7일(금)까지 3주 동안 관내 교원들이 참여하는 대규모 수업 나눔 행사, 2025 ‘강서양천 내게 다가온 수업 한마당’(이하 수업 한마당)을 운영했다.
2025 ‘수업 한마당’은 수많은(多) 수업을 세상(가온)에 펼치고 북돋아 함께 성장하는 수업 나눔 행사로서 관내 교원들의 능동적·자발적 참여를 통해 수업의 전문성을 신장하고 이를 바탕으로 함께 성장하는 교육공동체를 만들고자 운영되었다.
2025 ‘수업 한마당’의 시작은 명지병원 김현수 교수의 ‘수업으로 만나는 교사의 마음’ 주제 강연인 「여는마당」으로 약 100여 명의 교사들이 참여했으며, 기초학력, IB, 생태전환, 디지털기반 수업 등의 주제로 약 100여 명의 교사들이 자발적 수업을 나눈 「펼침마당」은 유아 6개, 초등 75개, 중등 23개 규모로 진행되었고, 유아 약 80명, 초등 교원 약 1,000명, 중등 교원 약 190명, 총 1,270여 명의 교원이 참관하였다.
「돋움마당」은 수업 방안 및 연구 자료 등을 공유하는 워크숍으로 현장의 요구가 높은 주제로 유・초등 27개, 중등 2개의 프로그램이 진행되었으며 총 450여 명의 교원이 참가하였다.
특히 2025 수업 한마당은 모든 학교급 교원으로 대상을 확대하여 학교급을 넘나드는 대규모 수업 나눔 행사로 진행되었으며, 교육지원국의 모든 부서(초등교육지원과, 중등교육지원과, 학교생활교육과, 학생맞춤협력과)의 참여로 학교 교육 활동을 전면 지원하였다.
초·중등교육지원과는 다양한 분야의 수업 나눔을 통해 수업·평가 혁신을 지원하고, 학교생활교육과는 생활교육 부장 업무 연수를 통해 안정적 학교 교육과정 운영을 도모하였고, 더불어 학생맞춤협력과는 학생맞춤통합지원 체계 이해를 위한 교원 연수를 통해 학교와 관내 지역 센터 연계 기반을 확립하는데 애썼다.
아울러 수업나눔교사들에게 인증장과 ‘나눔교사 인증판’을 수여하고 함께 사례를 나누며 소통하는 시간인 「수업한마당 평가회」는 11. 21.(금) 진행될 예정이다.
강서양천교육지원청 이의란 교육장은 “이번 강서양천 내게 다가온 수업한마당에 함께한 수업 나눔 교원과 참가 교원에게 감사의 인사를 전하며, 수업 한마당을 통해 수업 나눔 문화가 정착되고 선생님들이 함께 성장하는 뜻깊은 시간이 되었기를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교원의 전문성 신장 및 수업 혁신을 위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다.
강서구, '2025 사회복지분야 제도개선' 아이디어 공모
서울 강서구(구청장 진교훈)는 오는 28일(금)까지 ‘2025년 사회복지분야 제도개선 제안 공모’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공모는 복지업무 현장에서 개선이 필요한 사항을 발굴해 변화하는 복지환경에 신속히 대처하고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추진된다. 공모 주제는 ▲법·규정 개선 ▲시스템 개선 ▲예산 절감 ▲창의적 ...
양천구, ‘2026 대입 정시 합격 전략 설명회 및 1:1 맞춤형 집중 상담’ 운영
양천구(구청장 이기재)는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 발표에 맞춰 ‘정시 합격 전략 설명회 및 1:1 맞춤형 집중 상담’을 운영해 수험생과 학부모에게 실질적인 입시 지원 정보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급변하는 대입 정시 전형의 특징과 대학별 분석 정보를 정확히 전달하고, 수험생 개개인의 성적과 목표 대학을 기..
강서양천교육지원청, 학교 급여 담당자 맞춤 지원 '어깨동무 프로그램' 성과 공개
서울특별시강서양천교육지원청(교육장 이의란)은 올 한해, 급여 실무자 맞춤 지원 ‘어깨동무 프로그램’을 통해 지속 가능한 인력 선순환 체제를 구축하며 긍정적 조직 변화를 이끌어냈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그램은 학교 현장에서 기피하는 급여 실무 부담을 완화하고 신규 공무원의 초기 이탈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기획되었다.&n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