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조지워싱턴대학 병원 내분비내과 연구팀이 제2형 당뇨병 남성 환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대규모 추적 연구에서 체중보다 운동 능력이 생존율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왔다.
연구팀은 재향군인병원에 등록된 남성 제2형 당뇨병 환자 2690명을 대상으로 7년간 추적 관찰했다. 환자들은 체질량지수(BMI)에 따라 정상(406명), 과체중(1088명), 비만(1196명) 그룹으로 나뉘었으며, 러닝머신에서 걷는 시간을 기준으로 운동 능력을 ‘상급·중급·하급’으로 구분했다.
분석 결과, 운동 능력이 중급 이상인 환자는 체중과 상관없이 사망 위험이 크게 줄어드는 것으로 확인됐다. 정상 체중과 과체중 환자의 경우, 운동 능력이 중급 수준만 되어도 하급보다 사망 위험이 40% 감소했다. 비만 환자의 경우는 감소 폭이 더 커서 52%나 줄었다. 특히 운동 능력이 상급 수준에 도달한 경우, 사망 위험은 정상 체중에서 60%, 과체중에서 65%까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체중 감량은 당뇨병 환자에게 여전히 중요한 목표이지만, 그보다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최소한 중급 수준의 체력을 확보하는 것이 더 강력한 생존 전략”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Moderate Fitness Reduces Mortality Risk for Men With Type 2 Diabetes’*라는 제목으로 미국 내분비학회 학술대회에서 발표됐다.